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46)
사도행전(31) 16:16-40 간수의 구원 - 신의 한 수 본문은 세 가지 사건이 이어져 있다. ① 16-22절: 바울이 여종에게 축귀 기적을 행한 후 투옥됨 ② 23-34절: 바울을 지키는 간수가 기적을 통해 구원 받음 ③ 35-40절: 바울을 부당하게 투옥한 치안관들 사과함 세 가지 사건 중에 간수의 구원이 중심이라는 것에 이견은 없다. - 여종의 축귀와 치안관들의 사과는 간수의 구원을 위한 사전 준비와 사후 마무리이다. - 여종의 축귀 사건은 바울이 간수를 만나게 된 계기를 마련한다. - 치안관들의 사과는 간수를 위한 투옥으로 훼손된 바울의 명예를 회복한다. 이를 통해 바울의 투옥은 부당한 것이었으며, 굳이 당하지 않아도 될 일이었음을 증명한다. - 바울은 스스로 선택하여 투옥된 것이고, 그 선택은 간수의 구원을 위한 것임을 암시한다. - 마치 예수님의 죽..
사도행전(30) 16:1-15 예상된 신비는 신비가 아니다. 신비에 대한 이야기이다. - 신앙과 신비는 뗄 수 없다. - 신앙의 본질이 영적인 것, 그래서 감각과 이성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신비로운 것이기 때문이다. 신비를 배제하고는 신앙을 설명할 수 없다. - 볼 수도, 들을 수도, 만질 수도 없는 분을 믿는 다는 것도 신비고, 그런 분께 기도하고 예배하는 것도 신비며, 그 분께 헌신하는 것도 신비다. 그러니 신앙 생활에 신비가 일어나는 것도 자연스럽다. - 믿음으로 갑자기 평안이 오기도 하고, 기도 응답이 일어나기도 하며, 병이 치유되기도 하고 죽은 사람이 일어나기도 하는 것이다. - 따라서 신앙의 시작에서부터 신앙 생활의 전반에 너무 신비해서 해석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는 것은 논리적으로 자명하다. - 그래서 신앙에서 신비를 배제하고 오로지 합리와 이성으로 ..
사도행전(29) 15:22-41 회중은 그 권면을 기쁘게 받아들였다. 예루살렘 교회는 안디옥 교회를 비롯하여 이방인 교회 전체에게 4가지 금지 항목을 제시했다. - 우상에게 바친 제물, 피, 목매어 죽인 것, 음행이다. 그런데 안디옥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의 권면을 듣고 기쁘게 받아들였다. [행 15:31] 회중은 편지를 읽고, 그 권면을 기쁘게 받아들였다. 그런데 이 권면이 듣고 기뻐할 만 한 것인가? - 왜 이들은 금지 항목이 생기고 엄격한 규율이 생겼는데 기뻐했을까? - 이전보다 불편해졌을 텐데 말이다. -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던 고기를 먹지 못하게 되었을텐데 말이다. 또 반대로 유대인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 4가지 금지 항목 이면에는 이것 말고 모든 것을 허용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 즉, 율법 중에 특히 할례의 의무를 제하여 준 것이다. [행 15:28] 성령..
사도행전(28) 15:1-21 예루살렘 공의회 - 4가지 금지 항목이 제시된 이유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결정한 것을 딱 하나만 꼽으면 이것이다. - 구원의 유일한 기준은 믿음 뿐이다. - 반대로 믿음 외에는 어떤 것으로도 구원 받을 수 없다. - 유대인이건 이방인이건 구원 받을 수 있는 것은 믿음 뿐이다. - 율법을 지키는 것도 구원에 도움이 되지 않고, 율법을 지키지 않는 것도 구원에 방해되지 않는다. 그것을 위해 베드로는 이렇게 말했다. [행 15:9]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믿음을 보셔서, 그들의 마음을 깨끗하게 하시고, 우리와 그들 사이에, 아무런 차별을 두지 않으셨습니다. - 사람들은 유대인에게 율법이 있기 때문에 구원에 더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 그러나 하나님은 율법 유무로 차별을 두지 않으신다. - 단, 믿음 유무로만 차별하신다. [행 15:11] 우리가 주 예수의 은혜로 구..
사도행전(27) 14:1-28 1차 전도 여행의 성과 - 환난 사도행전은 1차 전도 여행을 왜 기록했을까?- 누누히 말했지만, 단지 있었던 일을 있는 그대로 기록한 것은 절대로 아니다.- 세상에 있는 그대로의 기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일기조차도, 다큐멘터리조차도, 증명 사진조차도 있는 그대로의 기록은 아니다.- 기록자의 관점에 의해 재구성된 현실이다.그렇기 때문에 모든 기록은 해석이 필요하다.-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첫째는, 기록의 목적을 해석해야 한다.- 기록자가 의식적으로,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과장 혹은 축소해서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있다.- 그것을 아는 것이 기록자에 대한 예의라고 지난 번에 말했었다.이를 사진에 비유해서 말하면, - 피사체, 렌즈, 사진 중에서, 피사체가 현실, 렌즈가 기록자의 의도, 사진이 기록물이 된다.- 피사체..
사도행전(26) 13:13-52 예언서에서 말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하라. 특별히 이번 본문을 해석할 때 주의점이 있다.- 본문의 특징은 덩어리가 크다는 것이다.- 40절짜리 긴 글이다.- 왜 기냐면, 논리가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이다.- 논리 단계 별로 각각의 주제가 있고, 각 주제가 연결되어 하나의 메시지를 전한다.- 그런데 문제가 뭐냐면, 딴 길로 새기가 좋다는 것이다.- 여러 단계의 논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하나의 메시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 전에 중간 단계에 멈춰버리는 것이다.- 각 단계의 논리가 개별적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다가 최종 논리까지 안가고 중간에 멈출 위험이 있다.예를 들어,- a-b-c-d 라는 논리 단계로 연결된 이야기를 했을 때,- 화자는 a, b, c 라는 과정을 통해 d라는 메시지를 전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
사도행전(25) 13:1-12 왜 바울의 첫 선교지의 첫 사역이 정죄와 심판일까? 본문은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이해가 안된다.첫째로, 사역 성과에 대한 설명이 너무 적다는 것이다.- 바울과 바나바가 파송을 받아 행한 첫 사역이다.- 게다가 총독이 예수님을 믿는 엄청난 성과를 얻었다.- 성과가 없어서 안적었다면 이해할 수 있지만, 총독이 예수님을 믿는 엄청난 성과를 얻었는데 아무런 설명이 없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둘째로, 정죄와 심판 사건이 중심을 이룬다.- 본문은 사역을 방해해서 정죄 심판 받은 바예수에게 초점을 둔다.- 인물을 설명할 때도 바예수를 더 자세히 설명하며, 서기오 바울은 바예수를 설명하기 위한 인물로 소개된다.- 이 부분이 한글 번역에서는 모호한데, 원어에서는 총독에 대한 설명이 독립된 문장이 아니라 관계 대명사로 연결되어 바예수 소개의 보조 문장으로 나온다.- 게다..
사도행전(24) 12:1-25 베드로의 퇴장을 일으킨 헤롯과 헤롯을 죽이신 하나님 본문은 세 가지 이야기가 연결되어 있다.① 1-5절: 예루살렘 교회를 박해하는 헤롯② 6-19절: 헤롯의 박해로부터 교회를 보호해주시는 하나님③ 20-25절: 하나님에 의해 심판 받는 헤롯- 세 가지 이야기가 각각 흥미진진하다.- 그래서 해설서에서는 각 이야기를 개별적으로 해석하고 각각의 주제를 제시한다.예를 들어,- 1-5절에서 야고보가 죽고 베드로가 갇힌 것에 기도하는 교회의 모습을 보고, 기도의 능력을 강조한다.- 6-19절에서 베드로가 천사에 의해 탈옥한 모습에, 하나님의 능력을 찬양한다.- 20-25절에서 교만한 헤롯이 죽임당하는 모습에, 교만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전부 맞는 말이지만, 본문을 이해하는데 전혀 도움이 못된다.- 나는 이런 메시지를 쓸데 없는 것으로 치부한다.- 성경 이해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