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46)
사도행전(14) 7:17-43 구원이 필요할 때 구원자를 거부하는 이스라엘 단락 구분① 17-22절: 모세의 출생 배경 - 이스라엘 백성의 학대② 23-29절: 모세의 마흔 살 - 이스라엘 민족으로부터의 거부③ 30-34절: 모세의 여든 살 - 하나님의 말씀④ 35-39절: 모세의 소개 - 다섯 가지⑤ 40-43절: 이스라엘의 거부 - 우상 숭배본문은 포인트를 어디에 둬야 할까?- 일단 등장 인물이 셋이다.- 하나님, 모세, 이스라엘이다.그렇다면 '하나님의 신실하심'일까, '모세의 헌신'일까, '이스라엘의 죄'일까?- 이 세 가지는 나눌 수 없을만큼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은 신실하게 약속을 지키시기 위해 모세를 선택하셨다.- 그래서 모세는 이스라엘을 위해 헌신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모세를 거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을 구원하신다.그렇기..
사도행전(13) 7:1-16 스데반의 연설 - 인류 죄의 고발 스데반의 연설 전체는 세 가지 메시지를 전한다.① 하나님의 신실하심-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구원을 약속하셨고, 그 약속을 신실하게 지키신다.- 그 과정에 약속이 깨지는 듯한 상황이 많았지만, 하나님은 끝내 약속을 이뤄내셨다.② 이스라엘의 죄- 하나님께서 반복적으로 약속을 재확인시켜주시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반복해서 거부한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요셉, 모세, 예언자 등을 거부하고 박해하였다.③ 이방인에게 확장되는 복음- 율법과 성전에 대한 비판은 복음에 있는 민족적 색체를 지운다.- 그 결과 이방인에게 전해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그래서 8장부터 본격적으로 이방인 전도가 시작된다.정리하면,- 하나님의 신실하신 약속 성취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거부하였다.- 동시에 이스..
사도행전(12) 6:1-15 신앙에 대한 인류의 오해의 핵심 - 성전과 율법 단락 구분① 1-6절: 구제 문제로 인한 일곱 일꾼의 선발 - 스데반의 등장② 7절: 예루살렘에서 복음의 확증 - 새로운 시작 암시③ 8-15절: 유대인과 스데반의 논쟁 - 성전과 율법 1-6절: 구제 문제로 인한 일곱 일꾼의 선발 - 스데반의 등장해석의 어려움은 분쟁의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왜 헬라파 유대인 과부들이 히브리 유대인에게 소홀히 여김을 받았는지 본문은 말하지 않는다.생각해 볼 수 있는 이유 두 가지이다.- 의도적이었느냐, 아니면 단순 실수였느냐이다.그런데 아마도 단순 실수였을 것 같다.- 왜냐하면 의도적이었다면, 이는 공동체를 파괴한 죄이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처벌을 받았을 것이다.- 죄를 다루지 않고 넘어갔다는 것은 죄가 아니었다는 것이고, 따라서 단순 실수였을 가능성이 크다...
사도행전(11) 5:27-42 신앙을 바라보는 세상의 또 다른 관점 - 저러다 말겠지. 본문을 해석하는데 핵심적인 방향키는 가말리엘에 대한 평가이다.-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 이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두 가지 관점이 모두 논쟁 중이다.그런데 이 평가에 따라 세상에 대한 평가 역시 결정된다.- 세상은 복음에 때로는 긍정적일 수 있는지, - 혹은 세상은 복음에 언제나 부정적인지 알 수 있다.가말리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가말리엘은 사도들이 '하나님에게서 난 사람'이라는 것과 그들을 박해하는 것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도들을 그대로 내버려 둬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말리엘의 깨달음으로 사도들이 풀려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관점은 악한 세상 속에도 알 수 없는 의인은 있으며, 그 세상의 의인으로 인해 교회와 복음이 지켜진다는 결론이 이..
사도행전(10) 5:17-26 기적의 목적 - 문제 해결이 아닌 관계 회복 이번에도 사건 자체는 단순하다.- 사도들이 전도하다가 성전 지도자들에 의해 다시 투옥되었다.- 그런데 주님의 천사가 사도들을 꺼내주며 전도하라고 명령하였다.- 그래서 사도들은 아침 일찍부터 성전에서 전도했다.- 뒤늦게 사도들이 탈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도자들은 사도들을 다시 붙잡는다.따라서 본문의 핵심은 천사의 기적이다.- 사도들이 감옥에서 소리 소문 없이 빠져 나온 것이다.- 정확한 과정은 알 수 없다.- 알 수 있는 것은 감옥 문이 잠겨 있었다는 것과 간수가 멀쩡히 서 있었다는 것이다.[행 5:23] 감옥 문은 아주 단단히 잠겨 있고, 문마다 간수가 서 있었는데, 문을 열어 보았더니, 안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그런데 문제는 기적이 좀 이상하다는 것이다.- 감옥에서는 나올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바라..
사도행전(09) 5:1-16 교회 안에서 엄격한 판결의 필요성 - 내부 결속과 외부 확장 결론부터 말해서,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교회 안에서 죄에 대한 엄격한 판결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것이 내부 결속과 외부 확장을 동시에 이루기 때문이다.- 반대로, 교회가 죄에 대해 방종하면, 내부 와해와 외부 단절이 일어나기 때문이다.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관계'의 관점에서 설명할 것이다.- 즉, 판결의 기준이 '관계'라는 것이다.- 이런 틀에서 본문을 설명할 것이다.본문의 이야기는 너무나 충격적이다.- 단순하게 말해서, 거짓말 한 번 했다고 죽여버린 것이다.- 무슨 조폭도 아니고, 어떻게 이렇게 무식한 일이 교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가.- 교회 돈을 훔친 것도 아니고, 자기 소유를 팔아 헌금하면서 그 중 일부만 해놓고 전부 했다고 과장만 했을 뿐인데 이렇게까지 해야 했을까?- 없는 말을 지..
사도행전(08) 4:23-37 박해와 부흥의 관계를 아는 것의 중요성 - 공동체 관계 천둥 번개는 하나님의 진노 소리인가?- 쓰나미는 일본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인가?- 코로나는 하나님께서 회개하라는 음성인가?- 많은 교회에서 이를 전제로 설교한다.성경은 이러한 관점을 지지한다.[출 5:3] 그들이 말하였다.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이 우리에게 나타나셨습니다. 우리가 광야로 사흘길을 가서, 주 우리의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수 있게 허락하여 주십시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주님께서 무서운 질병이나 칼로 우리를 치실 것입니다."-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은 자연 재해와 질병으로 이집트의 바로 왕을 심판하셨다.- 천둥, 번개, 쓰나미, 코로나는 하나님께서 세상을 심판하시는 방법 중에 하나일 수 있다.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반대 케이스도 있다.[롬 1:24-8]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이 마음의 ..
사도행전(07) 4:1-22 룰 브레이커이신 예수님 - 박해와 부흥의 관계 먼저 말할 것은, 이번 본문은 논증이나 설명이 아니라는 점이다.- 예수님이 왜 그리스도신지 논증하지 않으며, 어떻게 기적이 일어났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이는 2장의 방언을 통해서, 그리고 3장에서 기적을 통해서 충분히 제시되었다.- 더 말할 필요가 없다.대신 상황을 담담히 보여주기만 한다.- 사도들이 붙잡히는 상황, 그럼에도 5000명이 믿는 상황, 대제사장이 사도들을 심문하는 상황, 사도들이 담대히 증언하는 상황, 대제사장이 사도들을 경고하고 위협하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도들은 증언하는 상황,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상황 등이다.-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기보다 사건 자체만 간략하게 서술하고 지나간다.- 그래서 이야기만 보면 핵심적인 메시지를 찾기가 어렵다.-..